서울형 시간제전문 신청하는 방법은?

서울형 시간제전문 제도는 서울시에서 시간 단위로 보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한 정책인데요. 이를 통해 육아 하는 부모들의 피로도를 낮추고 재충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이번 글에서 이용 대상과 함께 신청 방법까지 알아보세요.


목차


서울형 시간제전문 제도 신청하는 방법은?


서울형 시간제전문 제도 알아보기

개요

저출생이 지속되면서 출생 및 육아를 하는 부모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정책으로 ‘탄생 응원 서울 프로젝트’ 중 하나입니다. 미취학 아동을 육아 중인 가정이라면 누구든지 필요한 상황에서 시간 단위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분이 관심을 가지고 있을 텐데요. 자세한 내용은 이어서 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이러한 보육 서비스를 통해 양육자의 피로를 해소하고, 재충전을 위한 취미 활동, 자기 계발 등의 일상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함인데요. 신청 조건이 까다롭지 않기때문에 이용 내용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시고, 해당한다면 놓치지 말고 신청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상세 내용

이용 대상

* 이용 대상 : 취학 전 아동으로 6개월 이상 7세 이하에 해당하는 가정


정부 시간제 보육 vs 서울형 시간제전문

정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시간제 보육의 경우 어린이집에 다니지 않은 가정 양육을 하는 아동을 주로 지원하는데요. 서울시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가정 양육 중인 아동을 포함하여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에게도 동일하게 신청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셔야겠습니다.


이용 시간

* 이용 시간 : 월요일~금요일로 오전 7:30~19:30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한 일정이라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1일 최대 4시간까지 이용할 수 있으며, 월 60시간 한도 안에서 신청할 수 있다는 점 알고 계시기를 바랍니다.


비용

* 이용 비용 : 시간 당 2,000원

보육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용은 시간 당 2,000원입니다.

1일 최대 4시간 이용하면 8,000원, 월 최대 60시간까지 이용한다면 12만원이기 때문에 비용 부담 없이 보육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겠습니다.


서울시에서 시간제 보육 서비스뿐만 아니라 가사 서비스 제도도 지원하고 있는데요. 저소득층을 위한 제도인 만큼 소득 기준이 있기 때문에 자격 조건을 제대로 확인하고 신청하는 것이 도움 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신청 방법

* 서울형 시간제전문 신청 및 접수 : 서울시 보육 포털


보육 서비스 신청은 서울시 보육 포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예약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전 예약은 이용하려는 날 기준 14일 전부터 예약 가능하다는 점 알고 계시기를 바랍니다. 단, 당일 예약을 하는 경우 전화를 통해 12시까지 신청할 수 있다는 점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접속 경로

* 서울시 보육 포털 서비스 > 보육 서비스 예약 > 서울형 시간제전문

1. 서울시 보육 포털 서비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2. 상단 메뉴 중 보육 서비스 예약을 선택합니다.

3. 좌측 메뉴 중 서울형 시간제전문 항목을 선택하고 예약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서울형 시간제전문 신청(서울시 보육포털 서비스)

4. 운영하는 기관 리스트에서 원하는 기관을 선택하여 예약하기를 진행합니다.


육아휴직 급여 제도는 정부에서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해 마련한 정책인데요. 양육하는 기간에 급여를 지급하여 경제적인 불안감을 없애고, 육아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함입니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유의 사항

운영 기관 7곳

* 동북권(2곳) : 성북 숲속 반디 어린이집, 도봉 세인 어린이집

* 서북권(1곳) : 은평 은화 어린이집

* 서남권(2곳) : 금천 동화나라 어린이집, 관악 당곡1어린이집

* 동남권(2곳) : 송파 리틀짐어린이집, 강동 지혜로운 어린이집


서울형 시간제전문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관은 동북권 2곳, 서북권 1곳, 서남권 2곳, 동남권 2곳까지 총 7개의 어린이집이 있습니다. 보육 서비스를 원하는 기관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데요. 이 가운데 은평 은화 어린이집은 7월 1일부터 운영된다는 점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7월 중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 부족한 자치구를 3곳 선정하여 추가할 예정이라고 하니 알고 계시기를 바랍니다.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뿐만 아니라 지자체에서도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요. 그중 하나가 바로 서울시에서 운영 중인 서울형 시간제전문 보육 서비스입니다. 이용 조건이 까다롭지 않기 때문에 해당한다면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도움받아 보시기를 바랍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