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 최신 내용을 알고 있다면 월급에서 나가는 건강 보험료 액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강 보험료는 가구원 수와 소득 수준에 따라 본인 부담금이 다르기 때문에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계산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목차

건강 보험료 알아보기
국민 건강 보험료란?
질병, 부상으로 발생하는 높은 진료비로 개인에게 부담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인 사회 보장 제도입니다. 평소에 국민들이 보험료를 내고 국민 보험 공단이 관리하다가 필요할 때 보험 급여를 지급하여 위험을 분담하고 필요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입니다.
직장인 가입자 vs 지역 가입자
건강 보험료는 크게 직장 가입자와 지역 가입자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서 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1. 직장인 가입자
사업자와 근로자, 공무원, 교직원 그리고 이들의 피부양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피부양자는 직장인 가입자에 의해 생계를 유지하는 자로 소득 혹은 보수가 없는 자를 말합니다. 배우자, 직계존속, 직계 비속이나 그 배우자, 형제와 자매를 포함합니다.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 글을 통해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2. 지역 가입자
직장 가입자를 제외한 대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
소득 기준 100%, 120%, 150%에 대한 보험료를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 최신 정보로 정리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어서 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1. 기준 중위 소득 100%
가구원 | 소득 기준 | 직장 가입자 | 지역 가입자 |
2인 | 3,683,000원 | 130,901원 | 74,359원 |
3인 | 4,715,000원 | 167,876원 | 123,611 |
4인 | 5,730,000원 | 205,281원 | 156,318원 |
5인 | 6,696,000원 | 239,074원 | 195,321원 |
2. 기준 중위 소득 120%
가구원 | 소득 기준 | 직장 가입자 | 지역 가입자 |
1인 | 2,675,000원 | 95,183원 | 24,266원 |
2인 | 4,420,000원 | 157,035원 | 109,680원 |
3인 | 5,658,000원 | 202,377원 | 152,948원 |
4인 | 6,876,000원 | 247,170원 | 205,217원 |
5인 | 8,035,000원 | 289,638원 | 254,448원 |
3. 기준 중위 소득 150%
가구원 | 소득 기준 | 직장 가입자 | 지역 가입자 |
1인 | 3,343,000원 | 119,657원 | 61,984원 |
2인 | 5,524,000원 | 196,672원 | 146,739원 |
3인 | 7,072,000원 | 251,147원 | 210,599원 |
4인 | 8,595,000원 | 304.986원 | 271,091원 |
5인 | 10,044,000원 | 360,818원 | 332,772원 |
건강 보험료 계산 방법
위에 정리해 드린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 금액이 어떻게 계산된 것인지 직장가입자 보험료에 대한 계산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월별 보험료 계산
1. 보수 월액 보험료 = 보수월액 X 보험료율
보수월액
직장인 가입자가 받는 보수를 기준으로 계산하는데요. 보수월액 보험료 최고액과 최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 최고액 : 8,481,420원
* 최저액 : 19,780원
이때, 휴직 혹은 그 외 사유로 인해 보수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받지 못한 경우 이 사유가 생기기 전 달의 보수월액을 기준으로 계산한다는 점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보험료율
보험료율은 1만분의 709(7.09%)로 적용합니다.
국외에서 직장을 다니고 있는 직장인 가입자의 경우 일반 보험료율의 절반 비율로 계산한다는 점 알고 계시기를 바랍니다.
2. 소득 월액 보험료 = 소득월액 X 보험료율
소득월액
보수월액을 계산할 때 포함된 보수를 제외한 소득을 말하며, 연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아래 계산식을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 (연간 보수외 소득)-2,000만원) X 1/12
이때, 소득월액 보험료 최고액은 4,240,710원 입니다.
보험료율
보수월액의 보험료율과 동일한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직장 가입자의 월 보험료는 위와 같이 계산하는데요. 직접 계산하지 않고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모의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필수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납부해야 하는 보험료보다 초과하여 낸 경우 초과한 금액에 대해 환급 신청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환급받고자 하시는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여기까지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 최신 기준과 함께 보험료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매년 오르던 보험료율이 이번연도에 7,09%로 동결되었는데요. 물가 상승으로 경제적으로 국민들의 부담이 커진 것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직접 보험료 계산까지 해보시기를 바랍니다.